sns
네온 조명 속 비비드한 컬러의 쎄보c 초소형 전기차 쎄보C
네온 조명 속
비비드한 컬러의 쎄보c
초소형 전기차 쎄보C
자세히 알아보기 ▶︎ www.cevo.co.kr 프로필 링크
#쎄보 #쎄보씨 #쎄보c #CEVO #CEVO-C #쎄보모빌리티 #1등 #초소형 #전기차 #2인승 #자동차
2022-05-20
초소형 전기차 쎄보씨 SE 활용법
초소형 전기차 CEVO-C SE
미디어
sns
네온 조명 속
비비드한 컬러의 쎄보c
초소형 전기차 쎄보C
자세히 알아보기 ▶︎ www.cevo.co.kr 프로필 링크
#쎄보 #쎄보씨 #쎄보c #CEVO #CEVO-C #쎄보모빌리티 #1등 #초소형 #전기차 #2인승 #자동차
2022-05-20
news
SNE리서치 "2025년부터 공급량이 수요량 웃돌 전망"
美자국내 생산품에 세액공제…미국 공장 신설 잇따라
올해부터 2024년까지 3년동안 미국에서 전기차용 배터리 공급 부족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19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미국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공급량은 93GWh(기가와트시)로 수요량인 105GWh에 못미칠 것으로 예측됐다. 2023년에도 공급량이 143GWh로 수용량인 181GWh에 미달하고 2024년엔 공급량이 211GWh로 수요량인 267GWh보다 56GWh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56GWh는 1회 충전시 500km 이상 주행할 수 있는 고성능 순수전기차를 78만대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SNE리서치는 2025년부터 공급 부족 현상이 해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2025년 미국 전기차 배터리 공급량은 453GWh로 수요량인 363GWh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다. 2030년 공급량은 1432GWh로 수요량인 1200GWh보다 200GWh 이상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2030년 국내 3사의 미국 내 생산능력은 LG에너지솔루션 270GWh, SK온 141GWh, 삼성SDI 133GWh로 예상됐다.
일본 파나소닉과 PPES가 각각 103GWh, 190GWh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중국 CATL 80GWh, 궈쉬안 200GWh, AESC 119GWh, 에스볼트 50GWh, 미국 테슬라 136GWh로 예측됐다.
미국은 '더 나은 재건법' 전기차 활성화 조항를 통해 미국산 배터리 셀을 사용하고 최종 조립생산용 부품의 50%를 자국산으로 쓴 전기차에 500달러의 추가 세액공제를 허용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미국 내 배터리 생산량을 늘릴 것을 주문한 셈"이라며 "주요 배터리 업체들도 미국 내 공장 신설을 적극적으로 진행중"이라고 말했다.
2022-05-20
sns
서비스